class="layout-aside-right paging-number">
본문 바로가기
철학

고대 그리스 철학

by Blissful Korea Journey 2024. 2. 18.

고대 그리스 철학

고대 그리스 철학에 있어서 소피스트가 경험, 문화등에 따라 가치 판단의 기준이 달라지는 것을 기준으로 하는 상대주의라 칭하는데 소크라테스는 소피스트의 철학에 맞서 장인으로서의 어떤 종류의 우수성과 도덕성을 수행하려면 그들이 말하는 것에 대해서 잘 알아하 한다고 말했다. 하지만 기원전 399년에 근시안적인 아테네의 권력자들로부터 청년들을 현혹시키고 신을 부정했다는 죄목을 씌워 결국 소크라테스는 독배를 마시게 되었다. 결국 그의 인심을 거스른 거의 태도가 이러한 결과를 자초한 것과 같다.  소크라테스가 제목숨대로 다 살지 못하고 생을 마친 후 그를 따르던 제자들은 자신의 길로 흩어져 나아갔으며 진정한 소크라테스의  철학적 견해를 넓히려는 무리와 소크라테스의 도덕적으로 단편적인 부분만 문제 삼는 조직들로 나뉘게 되었다.  그 무리 중 소크라테스를 문제삼은 대표적인 학파로는 키니코스학파와 키레나 학파로 볼 수 있다.

위의 키니코스학파는 견유학파라고도 불리며 자연스러운 삶의 방식을 추구하는 학자들을 일컬어 말하며 키레네학파는 극단적인 쾌락주의들의 학파모임을 일컬어 부른다.  키니코스학파에 있어서 이들은 아무런 욕심이 없는 것을 도덕적 윤리라고 칭하였고 키니코스학파와 키레네학파는 이들이 원칙으로 세운 바랑 하면서 고대 수도승으로 살아가는 삶을 실천하면서 많은 사람들에게 시범을 선보였다. 반면 쾌락적인 인생의 목적이 최고라고 추구하는 쾌락주의 철학을 키레네학파는 앞장서서 주장하였다.

불완전한 소크라테스의 무리

불완전한 소크라테스의 무리는 플라톤등을 제외한 그 외의 작은 규모의 소크라테스 학파를 일컬어 말하는데 그들의 나름대로 키니코스학파, 키레네학파와 엘리스 학파 등의 이름으로 창시했던 학파로서 이들이 추구하는 참다운 인간다운 모습이란 아무런 욕심이 없음을 뜻하는 것으로 독립된 자기만의 욕구 충족을 추구하였다. 플라톤의 초기의 여러 저서에서는 소크라테스를 도덕적인 개념을 기본 이념으로 규정하고 이를 를 성실히 지키고자 노력하였으나 후반으로 들어서면서 점점 지식에 대한 일의 항목과 내요을 철학의 본질적 신념으로 이를 기반으로 한 인식론과 존재의 근본 자체를 연구하는 학문인 형이상학이 심화되면서 모든 감성적인 것의 밑바탕으로 영원히 없어지지 않는 관념에 관한 설을 주장하였다. 플라톤은 우리 몸의 5가지의 감각기관을 자극하면서 생기는  모든 물체에 대한 실제의 직접적으로 인식하고 이상적인으로 현실세계를 뛰어넘는 세계가 존재한다고 주장하였다. 이것과 상반되게 알렉사드로스 왕의 스승인 아리스토 텔레스는 초월주의 세계론을 부정하고 본래의 모습의 모든 형태는 사물에 존재하는 것이라고 하고 그 존재는 선과 악 또는 표상 사람의 생각이나 의견등 본래의 성질을 의미하며 이를 포함한 모든 것의 기본이 되는 요소로부터 성립한다. 앞에서 설명한 기본이 되는 요소를 실현하는 곳에서 변화가 일어난다.

아테네의 서북쪽에 위치한 아카데메이아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스승이 세웠고  그가 떠난후에 리케이온이라는 고대 아테네의 공공모임 장소로 리케이오스를 기리기 위해 불려진 고대의 그리스 체육장에서 편안하게 강의하여, 훗날 이가세운 학파를 소요학파라고 칭했다. 또한 아리스토텔레스는 최초로 하나로 지식을 포괄하려는 학자로서 그가 연구했던 학문연구로는 자연과학이나 교육 문학 등을 꼽을 수 있다. 아리스토텔레스의 자연과학은 자연적인 현상을 이해하고 체계적으로 지식화 하여 만든 과학의 분야 중 한 가지를 뜻한다.

자연과학의 개요

자연과학은 어떠한 특정한 과학적인 방법을 통하여 원하는 결과값을 얻는 분석하는  지식방법이다.

과학이란 결과도 중요하지만 더욱더 중요하게 요구되는 것은 어떤한 결론을 얻으려 할 때 이를 이끌어 내는 과정을 더욱 중요시 여긴다.

따라서 과학에서 얻어진 결론은 어떠한 경험을 통해서 얻어진 결과값으로 이는 절대적으로 맞다고 할 수는 없다. 한 예로 잉글랜드의 수학자이나 물리학자인 아이작 뉴런의 고전역학은 특정한 조건에 따라 자연적인 현상을 증명하지 못할 수도 있다. 이에 반해 우리가 잘 알고 있는 튜턴의 운동법칙은 아직도 효과가 있다. 어떠한 현상을 이해하고 연구하여 새로운 지식을 세우거나 이를 통합하려 할 때 사용하는 과학적인 방법을 또 다른 증거나 결과로 인하여 수정 또는 변경될 수 있기 때문에 언제든지 그 명제가 성립하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이러한 자연과학의 한계를 알고 있는 것 또한 중요하다.

 

인간은 석기시대나 청동기 시대처럼 문서화된 자료가 없는 이전의 시대부터 여러 방면의 자연적인 법칙을 토대로하는 생활을 해왔다.

공구를 만들고 이를 응용하여 기계를 만들어 사용하며 불과 같은 것을 사용했던 것등이 자연적인 법칙을 토대로 한 생활방식이다. 고대 시애에는 큰 건축물과 여러 종류의 기술이 발달하였다. 하지만 유럽에서 과학적인 방법을 사용한 근대 과학은 르네상스시대 후에나 시작했다. 

갈릴레오 갈릴레이의 기록을 보면 근대정인 즉 과학적인 합리주의를 바탕으로 사회를 관찰하는 정신의 중요한 점은 무엇보다 자연을 바라보고 이를 수학적인 방법으로 기록하였다. 이후 보편적으로 모형을 이용하여 자연과학에서 자연적인 현상을 설명하는 모습이 보편화되었다. 

'철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대 그리스 철학자 플라톤  (0) 2024.02.28
고대 그리스 철학자 소크라테스  (0) 2024.02.25
헬레니즘 철학  (0) 2024.02.24
분석철학  (0) 2024.02.18
철학의 정의  (0) 2024.02.15